다른 소득세 계산하기
🏢

사업소득세 계산기

2025년 기준 정확한 사업소득세 계산

사업소득공제 자동 계산
필요경비 및 공제항목
2025년 누진세율 적용

🏢 사업소득세 계산

총수입금액과 필요경비를 입력하면 사업소득세를 계산합니다

사업 정보 입력

사업소득세 신고 가이드

필요경비 관리

  • 사업 관련 지출은 모두 증빙 보관
  • 신용카드·현금영수증 적극 활용
  • 장부 작성으로 명확한 경비 인정

공제 항목 활용

  • 국민연금·건강보험료 전액 공제
  • 인적공제(부양가족) 빠짐없이
  • 연금계좌·의료비·교육비 세액공제

신고 일정

  • 매년 5월 1일~31일 신고·납부
  • 11월 중간예납 납부
  • 홈택스 전자신고로 2만원 공제

💡 절세 팁

증빙서류 철저히 관리
모든 사업 지출은 세금계산서, 계산서, 신용카드 매출전표, 현금영수증을 챙기세요.
연금 가입으로 절세
국민연금과 연금저축은 소득공제와 노후대비를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가족 인적공제 확인
배우자, 부양가족 공제를 빠뜨리지 않고 챙기세요.
세무사 상담 활용
복잡한 경우 전문가 도움을 받아 정확한 신고와 절세를 동시에 하세요.

사업소득세 계산기란 무엇인가요?

사업소득세 계산기는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1인 기업가가 벌어들인 사업소득에 대해 정확한 세금을 계산해주는 도구입니다. 2025년 최신 세법을 반영하여 필요경비, 각종 공제, 누진세율을 자동으로 적용합니다.

사업소득은 근로소득과 달리 필요경비를 공제할 수 있고, 다양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세금 계산을 통해 절세 전략을 세우고, 예상 납부세액을 미리 파악하여 자금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에게 유용합니다

  • • 프리랜서 및 1인 사업자
  • • 온라인 크리에이터 및 인플루언서
  • • 배달대행, 대리운전 등 플랫폼 노동자
  • • 강사, 작가, 디자이너 등 전문직
  • • 소규모 자영업자 및 개인사업자
  • • 종합소득세 신고를 준비하는 사업자

사업소득의 종류

1. 일반사업소득

도소매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 사업을 통해 얻는 소득입니다.
총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를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계산 공식

사업소득금액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
  • 총수입금액: 매출액, 판매대금, 서비스 대가 등
  • 필요경비: 매입비용, 인건비, 임차료, 광고비, 감가상각비 등
  • 간편장부: 연 매출 7,500만원 이하인 경우 간편장부 작성 가능

2. 프리랜서 소득

원고료, 강연료, 디자인비, 프로그래밍 용역 등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는 대가입니다.
일반적으로 3.3% 원천징수 후 지급받으며,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정산합니다.

주요 직종 예시

  • • 강사, 컨설턴트, 작가, 번역가
  • • 디자이너, 개발자, 영상편집자
  • • 유튜버, 블로거, 인플루언서
  • • 모델, 성우, 배우
  • • 건축사, 세무사, 변호사 등 전문직

3. 플랫폼 노동 소득

배달대행, 대리운전, 택시, 퀵서비스 등 플랫폼을 통해 얻는 소득입니다.
2025년부터 플랫폼 사업자가 지급명세서를 제출하므로 신고 누락 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요경비율 적용

필요경비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율 (업종별 상이)

예) 배달대행 80%, 대리운전 60%, 택시 60%

💡 팁: 실제 필요경비가 기준경비율보다 많다면 장부를 작성하여 실비를 공제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사용 방법

1단계: 총수입금액 입력

연간 총수입금액(매출액)을 입력합니다.
부가세가 포함된 금액이라면 부가세를 제외한 순수 매출액을 입력하세요.

2단계: 필요경비 입력

실제 지출한 필요경비를 입력합니다.
간편장부 대상자나 기준경비율 적용자는 자동 계산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단계: 소득공제 항목 입력

인적공제(본인, 배우자, 부양가족), 연금보험료, 건강보험료, 주택자금 등 각종 소득공제 항목을 입력합니다.
해당 항목이 없다면 0으로 두면 됩니다.

4단계: 세액공제 항목 입력

자녀세액공제, 연금계좌세액공제, 보험료세액공제, 의료비·교육비·기부금 세액공제 등을 입력합니다.
영수증과 증빙서류를 확인하여 정확히 입력하세요.

5단계: 기납부세액 입력

이미 납부한 원천징수세액이나 중간예납세액을 입력합니다.
프리랜서라면 3.3% 원천징수된 금액의 합계를 입력하세요.

6단계: 결과 확인

사업소득금액, 종합소득과세표준, 산출세액, 최종 납부(환급)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부 계산 내역을 참고하여 절세 포인트를 찾아보세요.

실제 사용 예시

시나리오 1: 프리랜서 디자이너 (1인)

입력값

  • • 연 총수입: 5,000만원
  • • 필요경비: 1,500만원 (장비, 소프트웨어, 통신비 등)
  • • 인적공제: 150만원 (본인)
  • • 국민연금: 240만원
  • • 건강보험료: 180만원
  • • 기납부세액(원천징수): 165만원 (5,000만원 × 3.3%)

계산 결과

  • • 사업소득금액: 3,500만원
  • • 종합소득공제: 570만원
  • • 과세표준: 2,930만원
  • • 산출세액: 약 381만원
  • • 최종 납부세액: 약 216만원
  • • 실효세율: 약 6.2%

💡 원천징수 165만원을 제외하고 추가로 216만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시나리오 2: 온라인 쇼핑몰 운영 (부부+자녀1)

입력값

  • • 연 총수입: 1억 2,000만원
  • • 필요경비: 8,000만원 (매입, 임차료, 인건비 등)
  • • 인적공제: 450만원 (본인 + 배우자 + 자녀)
  • • 국민연금: 550만원
  • • 건강보험료: 420만원
  • • 자녀세액공제: 15만원
  • • 연금계좌세액공제: 66만원

계산 결과

  • • 사업소득금액: 4,000만원
  • • 종합소득공제: 1,420만원
  • • 과세표준: 2,580만원
  • • 산출세액: 약 330만원
  • • 세액공제: 81만원
  • • 최종 납부세액: 약 249만원
  • • 실효세율: 약 6.2%

💡 인적공제와 연금·보험료 공제로 세 부담이 크게 줄었습니다.

시나리오 3: 배달대행 플랫폼 노동자

입력값

  • • 연 총수입: 4,200만원
  • • 필요경비율: 80% 적용 → 3,360만원
  • • 인적공제: 300만원 (본인 + 배우자)
  • • 국민연금: 200만원
  • • 건강보험료: 150만원

계산 결과

  • • 사업소득금액: 840만원
  • • 종합소득공제: 650만원
  • • 과세표준: 190만원
  • • 산출세액: 약 11.4만원
  • • 최종 납부세액: 약 11.4만원
  • • 실효세율: 약 1.4%

💡 필요경비율 80% 적용으로 사업소득금액이 낮아져 세 부담이 매우 적습니다.

절세 전략

1. 필요경비 철저히 관리하기

  • 영수증 보관: 모든 사업 관련 지출은 증빙서류를 반드시 보관하세요
  • 신용카드·현금영수증 사용: 가산세 없이 경비 처리가 가능합니다
  • 장부 작성: 간편장부라도 작성하면 필요경비를 명확히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공동경비 안분: 집에서 일한다면 임차료·공과금의 일부를 경비 처리 가능

2. 소득공제 항목 최대한 활용

  • 국민연금: 납부액 전액 소득공제 (노후 대비 + 절세 일석이조)
  • 건강보험료: 납부액 전액 소득공제
  • 주택자금: 주택임차차입금, 주택마련저축 등 공제 가능
  • 개인연금: 연 72만원 한도 내 12% 세액공제

3. 세액공제 놓치지 않기

  • 자녀세액공제: 자녀 1명당 15만원, 2명 30만원, 3명 이상 30만원+2명 초과분×30만원
  • 연금계좌세액공제: 연 400만원(퇴직연금 포함 700만원) 한도 내 12~15%
  • 의료비·교육비·기부금: 각 항목별로 15~30% 세액공제
  • 월세세액공제: 총급여 7천만원 이하 시 10~12% 공제

4. 사업자등록 및 장부 작성

  • 사업자등록: 면세사업자라도 등록하면 증빙 관리가 쉽고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 복식부기: 연 매출 7,500만원 초과 시 복식부기로 기장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 세무대리인: 복잡한 경우 세무사에게 기장대행을 맡기는 것도 방법입니다
  • 성실신고확인: 일정 규모 이상이라면 성실신고로 공제 혜택을 받으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사업소득세는 언제 신고하나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은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입니다.
전년도(1월 1일~12월 31일) 소득에 대해 신고하며, 성실신고확인 대상자는 6월 30일까지입니다.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을 통해 전자신고가 가능합니다.

Q2. 프리랜서 3.3% 원천징수란?

프리랜서 소득에 대해 소득세 3% + 지방소득세 0.3% = 3.3%를 미리 떼고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실제 세금과 비교하여 더 냈으면 환급받고, 덜 냈으면 추가 납부합니다.
연 수입이 적다면 대부분 환급을 받게 됩니다.

Q3. 필요경비는 어디까지 인정되나요?

사업과 직접 관련된 지출만 필요경비로 인정됩니다.
매입비용, 인건비, 임차료, 광고비, 접대비, 차량유지비, 통신비, 소모품비, 세금과공과 등이 해당됩니다.
개인 생활비, 가족 인건비, 과다한 접대비는 인정되지 않으므로 주의하세요.
증빙서류(세금계산서, 계산서, 신용카드 매출전표, 현금영수증)를 반드시 갖춰야 합니다.

Q4. 간편장부와 복식부기의 차이는?

간편장부: 연 매출 7,500만원 이하 사업자가 간단하게 작성하는 장부입니다. 수입과 지출을 날짜순으로 기록합니다.
복식부기: 연 매출 7,500만원 초과 사업자가 작성하는 정식 회계장부입니다. 차변·대변으로 거래를 기록하며 재무제표를 작성합니다.
복식부기 의무자가 성실하게 신고하면 세액공제 혜택(최대 10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Q5. 중간예납이란 무엇인가요?

전년도 세금의 절반을 11월에 미리 납부하는 제도입니다.
전년도 세액이 50만원 이상이면 중간예납 고지서가 발송되며, 11월 30일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중간예납 납부액은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기납부세액으로 공제됩니다.
올해 소득이 크게 줄었다면 중간예납 감면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Q6. 사업소득세율은 얼마인가요?

사업소득은 종합소득세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2025년 기준):
• 1,400만원 이하: 6%
• 1,400만원 초과~5,000만원 이하: 15%
• 5,000만원 초과~8,800만원 이하: 24%
• 8,800만원 초과~1.5억원 이하: 35%
• 1.5억원 초과~3억원 이하: 38%
• 3억원 초과~5억원 이하: 40%
•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 42%
• 10억원 초과: 45%
여기에 지방소득세 10%가 추가됩니다.

관련 정보 및 참고자료

국세청 공식 자료

2025년 종합소득세 주요 일정

  • • 5월 1일 ~ 5월 31일: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 • 6월 30일: 성실신고확인 대상자 신고 기한
  • • 11월 30일: 중간예납세액 납부
  • • 전자신고 시 세액공제 혜택 (건당 2만원)

관련 계산기